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Korean Bibliography
ISSN : 1226-525X(Print)
ISSN : 2234-1099(Online)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Vol.27 No.4 pp.171-180
DOI : https://doi.org/10.5000/EESK.2023.27.4.171

Experimental Study of Ductility and Strength Enhancement for RC Columns Retrofitted with Several Types of Aramid Reinforcements

Lee Gayoon1), Lee Dong-Young2), Park Minsoo3), Lee Kihak4)*
1)Post-Doc, Deep Learning Architecture Research Center,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Sejong University
2)CEO, Daesan Engineering & Glass
3)Director, The Pick R&D Engineering
4)Professor, Deep Learning Architecture Research Center,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Sejong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Lee, Kihak E-mail: kihaklee@sejong.ac.kr
March 24, 2023 April 27, 2023 April 27, 2023

Abstract


This study proposed a seismic reinforcement of RC columns with non-seismic details, a fiber reinforcement method of aramid sheets and MLCP (high elasticity aromatic polyester fiber material)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and 4 full-size column specimens and conducted experiments. The results show that a non-seismic specimen (RC-Orig) rapidly lost its load-bearing capacity after reaching the maximum load, and shear failure occurred. The RC column reinforced with three types of aramid did not show an apparent increase in strength compared to the unreinforced specimen but showed a ductile behavior supporting the load while receiving a lateral displacement at least 1.57 to 1.95 times higher than the unreinforced specimen. The fracture mode of the specimen,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lateral load, also changed from shear to ductile fracture through aramid-based reinforcement. In addition, when examining the energy dissipation ability of the reinforced specimens, a ductile behavior dissipating seismic energy performed 4 times greater and more stably than the existing specimens.



아라미드계 섬유 보강을 통한 RC기둥의 연성과 강도 증 진에 대한 실험 연구

이가윤1), 이동영2), 박민수3), 이기학4)*
1)세종대학교 건축공학과 딥러닝 건축연구소 박사후연구원
2)㈜대산이엔지 대표
3)(주)더픽알앤디 실장
4)세종대학교 건축공학과 딥러닝 건축연구소, 건축공학과 교수

초록


    1. 서 론

    2016년에 발생한 경주지진 (M=5.8)과 2017년 발생한 포항지진 (M=5.4), 그리고 이 두 지진이 수반한 수백차례의 여진은 포항과 그 주변의 건축물과 시설물에 큰 피해를 유발하였다. 이는 지진위험에 대해 발생 가능한 인명과 경제적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수행해야 할 내진설계와 내진보강의 중 요성을 알려주었다. 2016년과 2017년의 경주 및 포항에서 발생한 지진 피 해는 특히 내진설계가 안된 건축물이나 비정형성을 보유한 필로티 건축물 과 같은 구조물에서 많이 발생하였다. 또한 구조기술자의 공학적 설계과정 이나 판단없이 설치한 외장 조적벽이나 천장 마감재에서도 큰 피해가 발생 하였다 [1].

    필로티 건축물은 1층의 기둥으로 이루어진 개방부와 그 상부에 설치된 RC 내력벽으로 인해 구조적으로 지진에 취약한 수직비정형성을 보유하게 된다. 이와 함께 1층 계단실을 구성하는 내력벽이 건축 계획적인 이유에 따 라 평면계획상에서 외곽이나 모서리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비대칭적인 평 면배치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점도 수평비정형성을 유발하게 된다. 따 라서 수직비정형과 수평비정형을 모두 포함할 가능성이 높은 필로티건축 물에서 지진에 대한 큰 손상이나 피해사례는 기존 미국 등의 해외 지진피해 사례에서 많이 보고되었고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을 위해 지속적인 연구와 내 진기준등의 개정이 이루어졌다 [2]. 2017년 포항지진에서도 필로티 건축 물이 가지고 있는 수평, 수직 비정형성으로 인해 구조적으로 많은 피해 사례 가 보고되었다 [3, 4].

    내진보강에서는 현재 구조물이 보유하고 있는 강도, 강성, 연성 (변형능 력)을 정확히 평가하여야 하고, 이들 중 어떤 성능을 향상시켜 목표성능을 만족시킬지를 결정하여야 한다 [5]. 또한 이러한 내진보강에서는 시간이 경 과하며 발생하는 건물의 재료와 구성부재의 풍화, 부식, 탄산화 및 노후화 도 고려할 필요성이 있다.

    탄소섬유, 아라미드섬유 (AF 공법)를 사용한 공법은 강성에 큰 영향은 없지만 연성 증가 효과 측면에서 내진보강재로써 탁월한 성능을 나타낸다 [6]. 다양한 보강방법으로 아라미드 섬유를 두른 후 기둥이나 보 표면에 띠 형태의 아라미드 시트를 일정간격으로 부착하는 하이제라스 공법, 탄소섬 유 가닥을 묶은 CF (Carbon Firber)-앵커를 이용하여 보강 부재에 정착시 키는 공법인 SR-CF공법도 기둥이나 보 내진보강에 사용된다 [7].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내진 상세를 가진 기존 철근콘크리트 (이하 RC)기둥의 내진 보강을 위해 특성이 다른 아라미드계열과 방수기능을 가 진 MLCP (고탄성 방향족 폴리에스터섬유소재)의 섬유보강공법을 제안하 고 내진보강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물 사이즈의 4개의 기둥 실험체를 제 작하여 성능실험을 수행하였다.

    2. 실험 계획과 내진 보강 재료

    2.1 RC기둥 실험체 상세

    본 실험은 아라미드계열 섬유로 보강된 기둥 실험체의 구조 및 내진 성 능을 검증하여 필로티 건물에 사용했을 때의 거동을 평가하기 위해서 4개 의 RC기둥 실험체를 제작하였다. Fig. 1과 같이 내진설계가 고려되지 않 은 단주를 기본 실험체의 기둥 형상으로 설정하고 설계하였다. 지진하중에 대한 저항능력을 전단거동에 대해 변곡점이 발생하는 중앙부와 기초부를 기둥의 해당 형상으로 잡고 단곡률 결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실험을 계획 하였다 [8]. 이를 위해 층고 2,400 mm의 기둥에 대해 변곡점이 중앙에 발 생하는 것으로 가정하고 기둥 실험체의 높이를 결정하였다. 시험체 단면은 300 mm×500 mm 직사각형 형태이고, 기둥 높이는 2,050 mm에서 유효 높이는 층고 2,400 mm의 절반 정도인 1,200 mm로 계획하였다. 기둥 단 면에서 주철근은 D19철근을 사용하여 총 12개의 철근이 모서리부와 중간 부에 배근하였고, 스트럽의 역할을 하는 D10 철근을 300 mm 간격으로 배 치하였다.

    RC기둥 실험체에서 본 연구의 주요 관찰 부위인 기둥의 유효길이에서 만 균열과 소성힌지등 에너지 소산이 발생하도록 기초부위와 가력부위인 기둥의 상부에 별도 보강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하부의 기초부위는 1,400 mm×900 mm로 제작하여 움직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였다. 또한 상부에는 D10 철근을 50 mm 간격으로 수평 8개, 수직 4개씩 배근하여 상 부에서 변형이나 뒤틀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였다.

    2.2 기둥 실험체 내진 보강재료

    본 연구에서는 직조 방식이 다른 아라미드계 섬유 2종류와 MLCP (고탄 성방향족폴리에스터) 섬유로 보강한 RC기둥으로 3개의 다른 보강 공법을 결정하고 이에 따라 기둥의 보강 작업을 수행하였다. 아라미드 시트는 타 소 재들보다 강도와 연성이 좋으며, 절연 특성, 내연성, 내화학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내진보강에 적합한 특징을 가진다. 단점으로는 자외선과 습도에 약 해서 방수가 되지 않는다. 또한 평직조는 일방향직조보다 하중을 받았을 때 심사가 풀릴 위험이 있다. 이를 더 보완해서 새롭게 제작한 소재가 MLCP 소재로 아라미드 섬유보다 진동 감쇠에 더 강하며, 아라미드 섬유에 없는 방 수기능이 있다. 단점으로는 방수기능이 있는만큼 접착제가 잘 스며들지 않 기 때문에 MLCP소재에 알맞은 접착제를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Table 1은 각 실험체의 명칭을 정리해서 보여주며, 각각의 보강 공법 방식을 정리 했다.

    3개 실험체의 내진 보강은 Fig. 2와 같이 기초부위와 상부의 하중 가력 부위를 제외하고 기둥의 유효길이 부위에 부착하였다. 폭 300 mm 시트를 상단에 2겹, 하단에 2겹으로 부착하였으며, 접착제는 난연접착제, 마감재 는 시트위에 4 mm 두께로 부착하였다. 마감재의 유무에 따른 기둥 실험체 의 성능 비교를 위해 마감재는 상단 보강 부위에만 마감 작업을 실시하였다. Fig. 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기둥 실험체의 보강 작업은 구조체 면정리, 콘 크리트 표면에 프라이머 작업, 아라미드 시트, 난연접착제, 난연마감재작업 의 순서로 보강했다.

    2.3 재료실험

    콘크리트 압축강도 실험은 KS F 2403 [9]기준에 따라서 직경 100 mm 에 높이 200 mm의 원통형 공시체를 제작하였다. 설계 압축강도는 30 MPa 로 제작하였다. 실험은 KS F 2405 [10]기준에 맞게 진행했으며, 총 4개 공 시체의 실제 측정한 28일 평균 압축강도는 34.75 MPa로 측정이 되었다.

    기둥 실험체 설계와 제작에 고려된 주근 (D19)과 횡철근 (D10)에 사용 된 철근은 SD400이다. 실험은 KS B 0802 [11]에 따라 수행하였다. 철근 의 인장강도 실험결과 시편들의 평균 항복강도는 432.5 MPa로 측정되었 다. 기둥 실험체 제작에 사용된 재료의 물성치는 Table 2과 같다. Table 3은 본 연구에서 사용된 3번과 4번 실험체의 아라미드 섬유와 MLCP섬유의 재 료적 물성치를 보여준다.

    2.4 실험체 가력 계획

    수직방향으로 압축력을 적용하기 위해 기둥 실험체 양 옆에 2개의 2,000 kN 유압잭을 설치하였다. 이는 무보강 실험체의 P-M 상관도를 통해서 구 한 단면성능에 대해서 축하중 강도 10%에 해당하는 600 kN을 기둥 실험 체에 상시 축력으로 실험을 수행하는 동안 가력하였다. 주기하중 (Cyclic loadings)을 수평으로 적용하기 위해 2,000 kN 유압 액츄에이터를 설치하 였다. 콘크리트 기초와 상부는 실험 중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직경 260 mm의 강봉으로 고정하였다. Fig. 3은 최종적으로 셋팅된 모습을 보여 준다.

    횡하중은 반복가력으로 기둥의 순높이 (h0)에 대한 횡변위로 계산하였 고 한 cycle당 3회씩을 가력하였다. 동일한 cycle에 대해서 1step씩 나누었 으며, 0.25%를 1step부터 시작해서 변형률이 증가할 때마다 1step씩 추가 해서 최대 9step까지 설정하였다. 횡하중 가력과 속도에 대한 기준은 참고 문헌을 통해 결정되었고, Fig. 4는 본 연구에서 적용한 횡하중에 대한 하중 가력을 자세하게 보여준다 [12].

    실험을 진행하기 전에 각 실험체의 예상되는 부재 단면의 전단강도을 계 산하기 위해서 참고문헌 [13, 14]에서 CFRP보강에 대한 아래의 식 (1)과 식 (2)를 사용하였다.

    V T = V R C + V C F
    (1)

    여기서, VT는 보강된 RC 구조물의 전체 전단강도 VRC는 RC의 전단강도, VCF는 CFRP 시트의 전단강도이다.

    V C F = α C F V C F , R = α C F ν C F λ C F f t b h 0 = ν × λ C F f t b h 0
    (2)

    여기서, αCF는 CFRP 시트의 전단 기여 계수, υCF는 CFRP 시트의 강도 발 현 계수, λCF는 콘크리트에 대한 CFRP 시트의 비율, ft는 콘크리트인장강 도, b는 기둥의 폭, h0는 기둥의 유효길이를 의미한다.

    식에 의하면 RC-Orig는 356 kN로 예상되었다. 보강된 RRC-Ara-B와 RRC-MLCP는 각각 392 kN, 371 kN으로 RC-Orig보다 10%, 4% 강도 가 증진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3. 구조성능 결과 및 분석

    3.1 기둥 실험체 거동 분석

    무보강 시험체인 RC-Orig의 실험결과는 Fig. 5에서 볼 수 있다. 실험결 과 하중이력의 변위가 증가함에 따라서 RC기둥 실험체에서 받는 작용 하 중의 크기가 증가했다. 실험은 1.5%까지의 변위를 가했으며 그 이후에는 실험체의 전단 파괴로 실험을 종료하였다. 최대하중은 318.48 kN, -267.38 kN으로 기록되었으며 이때의 횡변위는 1.4 9%, -1.54%를 기록하였다. 실 험 최대하중은 예상 최대 강도인 356 kN과 10% 차이로 매우 유사하게 예 측되었다.

    최대하중에 도달한 이후에 하중이 20% 저하됐을 때의 횡변위비를 검 토하여 기둥 실험체의 연성적인 거동을 평가하였다. RC-Orig 기둥 실험 체는 1.66%, -1.7%의 변형에서 253 kN, -215.6 kN에 도달한 이후 최대 하중 이후에 충분한 연성적 거동이 없이 기둥에 균열이 발생하면서 하중지 지 성능을 잃어버리며 전단파괴에 도달 하였다. 실험체에 파괴로 인해 실험 이 종료되었을 때 1.63%, -1.71%의 변위를 기록하였으며 이때의 최대하중 은 149.64 kN, -148.97 kN로 나타났다. 실험 시 최대하중에 도달한 이후에 연성적인 거동없이 그 뒤로 하중이 급격하게 감소하면서 파괴에 이르게 되 었다. RC-Orig의 최종 파괴 모드는 뚜렷한 대각선 전단 균열이 발생하면서 취성적 형태인 전단 파괴에 이르게 되었다.

    아라미드 평직조 방법 (RRC-Ara-A)으로 보강된 2번 기둥 실험체의 실 험결과는 Fig. 6에서 볼 수 있다. 실험은 3%까지의 변위를 가한 이후에 3.5%의 횡변위 중간에 실험체의 파괴로 인해서 하중이 급격하게 감소하여 실험을 종료하였다. 아라미드 평직조 방법으로 보강했을 때는 최대하중은 336.41 kN, -315.16 kN으로 나타났으며 이때의 변위는 2.16%와 -1.74% 의 횡변위를 보여주었다. 연성적 거동 측면에서 최대강도 이후에 하중이 20% 저하되었을 때에 도달한 이후에 지점에서의 변위와 강도를 확인했을 때 2.61%, -2.75%의 변형에서 268.2 kN, -252.49 kN으로 최대하중 이후 에 연성적 거동을 하며 기둥에 균열이 발생하였다.

    최종 하중지지 능력이 감소하며 실험체 파괴로 인해 실험이 종료되었을 때 횡변위는 3.08%, -3.19%이며 이때의 최대하중은 103.99 kN, -87.51 kN로 나타났다. 이는 실험체의 파괴가 발생할 때까지 2.5%의 횡변위를 겪 으면서 하중을 최대하중 대비 80% 이상까지 지지하며 기둥 실험체가 연성 적으로 거동했다는 것을 볼 수 있다.

    아라미드 일방향 방법 (RRC-Ara-B)으로 보강된 3번 기둥 실험체의 실험 결과는 Fig. 7에서 볼 수 있다. 실험은 3%까지의 변위를 가한 이후에 3.5% 횡변위 중간에 실험체의 손상과 탈락이 크게 진행되면서 하중이 급격하게 감소하여 종료하였다. 아라미드 일방향 방법으로 보강했을 때 최대하중은 349.11 kN, -318.93 kN으로 나타났으며 이때의 횡변위는 최대 2.09%, -2.21%의 횡변위를 기록하였다. 이는 ACI-445의 식에서 계산됐던 392 kN과 11%차이로 매우 유사하게 측정되었다. 식에서 비보강 시험체보다 일방향 직조방식으로 보강했을 때 10%의 전단강도가 증가한 것과 본 실험 에서 최대강도가 RC-Orig보다 10%증가한 것으로 식과 본 실험이 유사한 경향을 보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최대하중에 도달한 이후에 하중이 20% 저하되었을 때의 해당 변위비를 검토하여 구조물이 연성적인 거동을 했는지를 파악하였다. 3번 기둥실험체 는 최대강도의 80% 지점에서의 변위와 강도를 확인했을 때 3.23%, -3.09% 의 횡변위에서 277.75 kN, -260.19 kN에 도달하고 최대하중 이후에 연성 적 거동을 하며 기둥에 균열이 발생하였다. 실험체 파괴가 발생해서 실험 종 료 시에 변형률은 3.54%, -3.15%이며 최대하중은 77.86 kN, -204.41 kN 로 나타났다. 최대하중이 발생한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하중을 받으면서 연 성적인 거동으로 변위가 증가한 이후에 파괴가 발생한 것을 볼 수 있다. 따 라서 RRC-Ara-B의 최종 파괴 모드는 연성파괴로 판단된다.

    MLCP 보강을 통해 제작된 4번 내진보강 기둥 실험체 (RRC-MLCP)의 실험결과는 Fig. 8에서 볼 수 있다. 실험은 3%까지의 변위를 가한 이후에 3.5%의 횡변위 중간에 실험체의 파괴로 인해서 하중이 급격하게 감소하여 종료하였다. MLCP 섬유로 보강했을 때 최대하중은 332.82 kN, -339.53 kN으로 나타났으며 이때의 횡변위는 최대 1.49%, -2.61%의 횡변위를 기 록하였다. 이는 ACI-445의 식에서 계산됐던 371 kN과 10%차이로 매우 유사하게 측정되었다. 식에서 비보강 시험체보다 MLCP로 보강했을 때 4%의 전단강도가 증가한 것과 본 실험에서 최대강도가 RC-Orig보다 7% 증가한 것으로 ACI-445식을 통해서 섬유 보강된 실험체의 강도의 증가를 예상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연성적 거동 측면에서 최대강도의 80% 지점에서의 변위와 강도를 확인 했을 때 3.08%, -3.08%의 변형에서 268.02 kN, -267.85 kN으로 최대하중 이후에 연성적 거동을 하며 기둥에 균열이 발생하였다. 실험체 파괴로 인하 중에 대한 4개 실험체 거동 분석은 Table 4에서 보여준다. RC-Orig기둥은 1.49%에서 최대하중 318.4kN에 도달한 이후에 급격하게 하중지지 성능을 잃어 버리며 전단파괴에 이르게 되었다. 3개의 보강 실험체들 (RRC-Ara-A, RRC-Ara-B, RRC-MLCP)은 비보강실험체에 비해 강도의 증진 효과는 뚜렷하게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RC-Orig에 비해서 최대 하중에 대해 비교 할 때 1.13~1.69배까지 횡변위비가 증가하며 최대하중을 지지하였다. 최 대 강도의 80%의 성능을 유지하면서 횡변위가 증가하는 것을 연성거동의 정의로 본다면 RC-Orig에 비해서 3개의 내진 보강을 실시한 기둥들은 1.57~1.95배까지 더 큰 횡변위를 받으면서 하중을 지지하는 연성적 성능 을 보여주었다.

    보강된 3개 기둥 실험체들의 경우 횡변위를 확인했을 때 최대하중 도달 이후에도 연성적 거동을 보이며 강도의 완만한 감소를 가져오며 이후 최종 파괴가 일어남을 관찰하였다. 결론적으로 아라미드계 보강을 통해 기둥에 보강을 실시하였을 때 횡하중의 적용에 따른 파괴모드가 비보강된 RC기둥 의 전단파괴에서 아라미드계 섬유 보강을 통해 연성파괴로 파괴 유형이 변 화함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해 실험이 종료되었을 때 변형률은 3.74%, -3.59%이며 이때의 최대하중은 168.1 kN, -140.27 kN로 나타났다. 최대 하중 이후에도 연성적인 거동을 보이며 파괴가 발생한 것을 볼 수 있다. 따 라서 RRC-MLCP의 최종 파괴 모드는 연성파괴로 판단된다.

    3.2 기둥 실험체 손상 현황

    Fig. 9는 RC-Orig의 기둥 실험체에 하중가력에 따라 횡변위 단계별로 실험체의 손상 현황을 보여준다. RC-Orig의 1 step (0.25%)에서는 미세한 균열이 기둥의 양 측면에 발생한 것을 볼 수 있었다. 2 step (0.5%)에서는 좌, 우측면에 발생한 균열이 중앙부까지 발생했으며, 3 step (0.75%)과 4 step (1.0%)에서는 양 측면에서 발생한 휨균열이 직선에서 사선 방향으로 확장되어서 전형적인 사인장 균열이 발생하였다. 마지막 5 step (1.5%)에 서는 굵은 폭을 가진 사인장 균열이 발전되어 더 커지면서 횡하중 저항능력 이 크게 감소하고 기둥이 파괴 상태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어 실험을 종료 하였다.

    Fig. 10은 RRC-Ara-A의 실험체에 하중가력에 따라 단계별 실험체의 파괴 현황을 보여준다. RRC-Ara-A의 1 step (0.25%)에서는 매우 미세한 균열이 보강되지 않은 중앙부에서 기둥의 양 측면에 발생한 것을 볼 수 있었 다. 2 step (0.5%)에서는 좌, 우측면에 발생한 균열이 중앙부까지 발생했다. 그 이후로 스텝이 증가함에 따라서 균열이 직선에서 사선 방향으로 확장되 어 가며, 많은 균열이 발생하였다. 7 step (2.5%)부터는 균열폭이 증가되기 시작하면서 기둥 표면의 콘크리트에 박리가 발생하였다. 8 step (3%)에서 는 균열폭이 확장되고 콘크리트 표면에서 박리가 일어나면서 콘크리트의 파괴가 넓은 범위로 발생하였고 철근이 노출되었다.

    RC-Orig는 전체적으로 균열이 발생한 것과는 다르게 RRC-Ara-A의 상부와 하부는 아라미드로 보강이 되어서 균열의 발생이 최소한으로 억제 되고 이에 따라 보다 큰 변위에도 연성적으로 하중을 지지할 수 있었던 것으 로 판단된다.

    Fig. 11은 RRC-Ara-B 기둥 실험체의 하중가력 단계별 실험체 손상 및 변형의 단계를 보여준다. RRC-Ara-B의 1 step (0.25%)에서는 매우 미세 한 균열이 기둥의 양 측면에 발생하였다. 2 step (0.5%)에서는 균열이 좌, 우측면에서 중앙부까지 발생했다. step이 증가함에 따라서 균열이 사선 방 향으로 확장되었으며 지속적으로 균열이 발생하였다. 8 step (3%)에서는 콘크리트 마감이 벗겨지고 균열이 많이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9 step (3.5%)은 1 cycle 이후에 기둥이 파괴되어서 실험을 종료하였다.

    최종 파괴 모습에서는 콘크리트의 균열과 중간부에 콘크리트 피복이 탈 락하여 철근이 노출될 정도로 파괴되었다. 최종 파괴양상을 보면 보강되지 않은 중앙부의 콘크리트가 거의 다 떨어져 나갔음에도 불구하고 보강된 상 부와 하부에서는 따로 균열이 발생하지 않았으며, 하부에 아라미드 보강재 만 들뜸이 발생했음을 볼 수 있다. 이는 보강재로 부착된 아라미드계 섬유 보강이 내진성능 증대에 충분히 역할을 발휘한 것으로 판단된다.

    Fig. 12은 RRC-MLCP의 실험체 하중가력 단계별 실험체 손상과 균열 발생 현황을 보여준다. RRC-MLCP의 1 step (0.25%), 2 step (0.5%)에서 는 매우 미세한 균열이 기둥의 양 측면에 발생하였다. step이 증가함에 따라 서 균열이 사선 방향으로 확장되었으며 지속적으로 균열이 발생하였다. 8 step (3%)에서는 표면의 콘크리트가 균열등의 영향으로 들뜸과 박리가 시 작되는 모습이 보였으며, 8 step (3%)에서는 균열이 많이 발생하고 콘크리 트의 표면이 박리와 탈락이 발생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9 step (3.5%)은 1 cycle 이후에 기둥의 철근이 노출될 정도로 탈락이 발생하였다.

    최종 단계에서 횡하중의 지지성능이 감소하면서 실험이 종료되었다. 최 종 파괴양상을 보면 콘크리트 피복이 탈락하면서 콘크리트 안의 철근이 노 출되었다. 전체 거동 측면에서 보강이 되지 않은 중앙부의 콘크리트가 거의 다 떨어져 나갔음에도 불구하고 MLCP로 보강된 상부와 하부에서는 균열 이 발생하지 않은 모습을 볼 수 있다.

    3.3 강재 및 철근 변형률

    Fig. 13은 기둥 실험체에 배근된 주근과 스트럽에 부착된 스트레인게이 지를 보여준다. 주근에는 총 10개 (D1~D10)의 게이지가 밑에서부터 150 mm 간격으로 부착되었다. 이는 점점 증가하는 휨하중에 대해 횡저항 성능 을 제공하는 주철근이 횡변위가 점점 커짐에 따라 어떻게 휨 강도를 발현하 는지 파악하기 위함이다.

    스트럽의 철근 게이지는 우측과 좌측면에 3개씩 총 6개 (S1~S6) 부착되 었는데 휨에 의한 전단철근 (스트럽)의 항복강도를 확인하고 횡하중의 증 가에 따라 콘크리트 심부 구속과 주철근의 좌굴을 막기 위한 스트럽의 거동 을 어느 정도의 횡하중의 크기까지 영향력을 발휘하는지 보기 위함이다. 주 근과 스트럽의 변형률은 하중이 증가함에 따라 발생하는 기둥의 횡변위비 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주철근의 항복변형률이 0.22%이며, 4개의 실험 체 모두 항복변형률을 초과했다.

    Fig. 14은 RC-Orig의 변형률을 보여준다. RC-Orig는 실험이 종료되는 시점에서 주근과 스트럽 모두 항복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주철근에서는 D2 를 제외하고 안정적인 이력곡선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철근의 게이 지 D2는 균열이 크게 발생하면서 강도가 크게 떨어질 때 발생하는 거동을 보이는데, 이는 D1이나 D6의 경우 기초 부위가 가까운 부위에 설치되어서 기초에 균열이나 변형이 발생하지 않아 큰 균열이 발생하지 않았다. 반면에 D2의 경우 기둥의 하부에서 큰 모멘트가 발생하면서 주철근에 큰 휨력이 발생하면서 결과적으로 휨 변형률이 크게 발생하고 이에 대한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판단된다. 스트럽에서는 중앙부에 위치하는 S5와 S2에서 다른 데 이터보다 더 큰 변위가 이는 중앙부에 휨 균열이 발생하게 되면서 스트럽에 도 이에 따른 큰 응력과 변형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RRC-Ara-A는 모멘트가 최대로 발생하는 하부에 설치된 D2와 D7 주 근의 게이지들의 경우 균열이 크게 발생하면서 강도가 크게 떨어질 때 발생 하는 거동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에 게이지들은 비교적 안정적인 변형률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난다 (Fig. 15(a, b)). 스트럽에 설치된 게이지 의 경우 하부와 보강된 부위의 S1, S3, S4, S6은 비슷한 이력곡선을 보였으 나, 균열이 발생하는 S2와 S4에서는 큰 변형률을 보였다 (Fig, 16(d)).

    Fig. 15는 RRC-Ara-B 기둥에 설치된 스트레인게이지의 변형률을 보 여준다. 주근에 부착된 주철근의 게이지는 모두 정상적으로 변형률이 측정 이 되었다. 반면에 휨에 의한 전단철근의 항복강도를 확인하고 횡하중의 증 가에 따라 콘크리트 심부 구속과 주철근의 좌굴의 거동을 확인하는 스트럽 의 게이지의 S1~S3은 측정이 되지 않았다.

    주근과 스트럽의 변형률은 하중이 증가함에 따라 발생하는 기둥의 횡변 위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주근은 전체적으로 RRC-Ara-A에 비해서 안정적인 이력곡선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럽은 S5는 중앙부에 설 치되어서 S4, S6보다는 큰 변형률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RRC-MLCP에서 스트럽에 설치된 S5 변형률게이지는 측정에 실패하 였다. 주근과 스트럽의 변형률은 하중이 증가함에 따라 발생하는 기둥의 횡 변위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RRC-Ara-B와 동일하게 주근과 스트럽은 안정적인 이력곡선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S2와 S6은 갑작스럽게 발 생한 큰 균열로 인해서 강도가 크게 떨어지면서 게이지의 변형률이 나타난 것을 볼 수 있다 (Fig, 17(c, d)).

    4개의 기둥 실험체들은 변위 1%지점에서 철근이 항복했으며, 그 이후 에 스트럽이 항복하는 거동을 보였다. RC-Orig는 철근이 항복하는 시점에 서 실험이 종료되어 취성적인 파괴로 분류되며, 보강된 실험체들은 철근이 항복한 이후에도 연성적인 거동을 보이며 휨파괴로 분류된다.

    3.4 전체 실험결과 비교분석

    3.4.1 최대 성능점 비교

    Fig. 18은 각 기둥 실험체에 대해 하중-변위 envelop를 표현한 것이다. 기준 기둥 실험체와 보강된 3개의 기둥 실험체를 비교할 때 특별하게 하중 과 변위 그래프의 기울기로 표현되는 강성의 증가는 뚜렷하게 관찰되지 않 았다. 이는 섬유계 보강의 특성으로 내진 보강 작업시 강도보다는 연성적 능 력이 증대되는 장점을 갖기 때문이다. 기준 실험체는 횡변위 1.5%에 도달 한 이후 급격하게 전단균열의 증가로 취성적 전단파괴를 보여주었다. 내진 보강된 3개의 기둥 실험체는 모두 횡변위 3.08%에서 최대 3.59%까지 최 대 강도의 80%를 유지하면서 연성적 거동파괴를 보여주었다.

    기준 실험체 (RC-Orig) 기둥을 통해 판단할 때 현재 내진보강이 이루어 지지 않는 기둥을 가진 필로티건축물은 건축구조기준에서 예상하는 설계 지진 발생 시 2%의 횡변위에 견디지 못하고 전단파괴로 필로티건축물의 구조적 불안정성과 붕괴를 가져올 수 있다. 보강된 실험체는 지진 발생시 연 성적 거동을 통해 기둥의 손상과 파괴를 지연하면서 필로티건축물의 붕괴 방지 성능목표에 도달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되었다.

    3.4.2 연성능력

    최대강도 (Vu)에서 최대강도의 80%가 첫 번째 대응되는 첫 번째 변위 연성비의 변위를 θy, 마지막 변위 연성비에서 변위를 0.8θu이라 한다. 0.8θ u/θy를 통해 연성도를 산정하였다. 연성도 향상률은 각각 40%, 66%, 54% 로 RRC-Ara-B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아라미드계열 섬유 의 보강으로 기존 비내진 실험체가 취성적 파괴모드에서 연성적 파괴모드 의 변환을 통해 요구되는 내진성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3.4.3 에너지 소산 능력

    반복하중을 겪는 구조체의 에너지 소산능력 (Energy dissipation capacity) 은 내진성능 검증시 중요한 지표이다. 전체 소산 에너지 (Et)는 각 실험체별 최종적인 층간변위비에 도달할 때까지의 하중-변위 곡선의 이력 그래프의 면적을 합산하여 산정하였다. 미소 변위 Δn의 개수는 이론상 무한대이지만 데이터상의 한계 상 100회 이상의 값으로 산정하여 에너지 소산을 계산하 였다.

    가력 단계에 따른 점진변위 가력 실험체의 소산 에너지의 변화는 Fig. 19 에 나타나 있다. 전체적으로 소산에너지는 소성변형이 작은 초기 가력 구간 에서는 미소한 변화를 보이다가, 가력 변위가 큰 후반부에서는 증가함을 보 인다. 보강된 3개의 기둥 실험체는 큰 횡변위에서도 하중을 계속 지지함에 따라 입력된 지진에너지를 안정적으로 소산하는 연성거동을 보여준다. 지 진에너지 소산량에 대한 정량적 평가에서 RRC-MLCP와 RRC-Ara-B시 험체가 가장 큰 에너지 소산량을 보여주었다.

    4. 결 론

    본 실험은 비보강 RC기둥과 아라미드 계열의 섬유로 보강된 RC기둥에 대한 특성을 실험 결과에 기초하여 분석하였다. 실험체의 하중-변위 관계를 바탕으로 실험 결과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실험 장비의 한계치에 도 달할 때까지 실험을 진행하여 최종 검증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얻은 결론 은 다음과 같다.

    • (1) 본 실험에서 비보강된 기둥 실험체는 1.49%에서 최대 하중, 318.4 kN 에 도달후 급격하게 하중지지성능을 잃어버리며 전단파괴가 발생하였 다. 보강된 3개의 실험체들은 비보강실험체에 비해 연성적인 측면에서 내진보강의 효과를 보여 주었다. 3개의 보강 기둥 실험체는 비보강 실 험체에 비해 1.45~1.75%까지 횡변위가 증가하면서 최대 하중을 지지 하였다. 연성적 거동 측면에서 최대 강도의 80%까지 비보강 실험체에 비해 최소 1.57배에서 1.95배까지 더 큰 횡변위를 받으면서 하중을 지 지하는 우수한 내진보강 효과를 보여주었다. 전단파괴로 급격하게 하 중지지 성능의 손실을 가져온 비보강 RC기둥에 비해 아라미드계 섬유 보강을 통한 기둥 실험체들은 연성파괴로 파괴 형태가 변경되었다.

    • (2) 모든 실험체에 대한 에너지 소산 능력 그래프를 통하여 각 실험체들의 에너지소산 능력을 평가하였다. 전체 소산 에너지 (Et)는 가력 종료까 지 하중-변위 곡선의 루프 면적을 합산하여 산정하였다. 가력 변위가 증 가함에 따라 소산한 에너지양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내진 보강된 RRC-MLCP와 RRC-Ara-B 기둥시험체가 가장 큰 에너지 소 산량을 보여주었다.

    • (3) 고려된 보강 부위 300mm에서 기둥 중심부로 보강 (Wrapping) 부위를 증가시키면 더 큰 내진보강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최소 기둥 두께 또는 겹침이음 길이 이상으로 섬유계 부착에 대한 보강 높이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소성힌지 (Plastic hinge) 가 발생하는 길이 이상으로 아라미드계 보강을 통해 기둥을 감싸면서 보강하는게 중요하다. 향후 연구에서는 실험에서 수행하지 못한 변수, 섬유의 보강 길이, 위치, 보강량 등에 대한 기준을 해석 연구를 통해 제 시하고 이후 실험을 통해 검증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4) RRC-MLCP섬유의 보강은 비교 대상인 RRC-Ara-B의 내진보강 성능 을 100%라고 가정할 때 연성적 측면에서 약 80% 정도의 성능을 보여 준다. RRC-Ara-B와 동등 또는 그 이상의 성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MLCP섬유 계열의 인장강도 성능의 일관성 확보, 접착제로서 함침 비 율 등에 대한 보다 상세한 연구가 필요하다. 아라미드섬유 계열의 특성 상 제조 과정에서 성능 측면에서 여러 편차가 발생할 수 있으며 시공과 정에서 섬유의 접착력, 레진 접착제의 함침율의 변수들이 실험에 고려 되어야 한다. 구조공학적 측면에서 섬유계열 보강재에 대한 두께와 기 둥 보강에서 소성힌지 길이를 반영한 섬유보강 면적 등이 고려되어 성 능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실무에서 활용할 수 있는 DB와 설계매뉴얼, 특기시방서를 개발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감사의 글 /

    본 논문은 2022년 ㈜대산이엔지의 연구비 지원과 2022년 산업통상 자 원부 (20010999) 연구비 지원에 의해 수행되었습니다. 이에 감사드립니다.

    Figure

    EESK-27-4-171_F1.gif

    Details of column specimens

    EESK-27-4-171_F2.gif

    Process of the attached the reinforcement

    EESK-27-4-171_F3.gif

    Experiment setting

    EESK-27-4-171_F4.gif

    Loading history for unidirectional test

    EESK-27-4-171_F5.gif

    Hysteretic curves of RC-Orig

    Vu: maximum shear force, θu: displacement ratio of maximum shear force, 0.8Vu: 80% of maximum shear strength, 0.8θu: Displacement ratio at 80% of the maximum shear force, Vf: Strength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θf: Displacement ratio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EESK-27-4-171_F6.gif

    Hysteretic curves of RRC-Ara-A

    Vu: maximum shear force, θu: displacement ratio of maximum shear force, 0.8Vu: 80% of maximum shear strength, 0.8θu: Displacement ratio at 80% of the maximum shear force, Vf: Strength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θf: Displacement ratio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EESK-27-4-171_F7.gif

    Hysteretic curves of RRC-Ara-B

    Vu: maximum shear force, θu: displacement ratio of maximum shear force, 0.8Vu: 80% of maximum shear strength, 0.8θu: Displacement ratio at 80% of the maximum shear force, Vf: Strength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θf: Displacement ratio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EESK-27-4-171_F8.gif

    Hysteretic curves of RRC-MLCP

    Vu: maximum shear force, θu: displacement ratio of maximum shear force, 0.8Vu: 80% of maximum shear strength, 0.8θu: Displacement ratio at 80% of the maximum shear force, Vf: Strength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θf: Displacement ratio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EESK-27-4-171_F9.gif

    Crack patterns and failure aspects of RC-Orig

    EESK-27-4-171_F10.gif

    Crack patterns and failure aspects of RRC-ARA-A

    EESK-27-4-171_F11.gif

    Crack patterns and failure aspects of RRC-ARA-B

    EESK-27-4-171_F12.gif

    Crack patterns and failure aspects of RRC-MLCP

    EESK-27-4-171_F13.gif

    Strain gauge location and number

    EESK-27-4-171_F14.gif

    Strain cruves of transverse of RR-Orig

    EESK-27-4-171_F15.gif

    Strain cruves of transverse of RRC-ARA-A

    EESK-27-4-171_F16.gif

    Strain cruves of transverse of RRC-MLCP

    EESK-27-4-171_F17.gif

    Strain curves of transverse of RRC-MLCP

    EESK-27-4-171_F18.gif

    Envelope curves for column specimens

    EESK-27-4-171_F19.gif

    Energy dissipation for column specimens

    Table

    Description of reinforcement sheet

    Description of reinforcement sheet

    Material properties of Aramid sheets

    Material properties of Aramid sheets

    Reference

    1.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ite Inspection and Damage Investigation of Buildings by Earthquakes in Gyeongju and Pohang. c2018.
    2. Tomorrow, ATC Here Today—Here. The Road to Earthquake Resilience in San Francisco, Com-munity Action Plan for Seismic Safety. ATC-52-2 Report, Applied Technology Council, Redwood City, California. c2010.
    3. Eom TS, Lee SJ, Park HG. Investigation of structural damage in bearing wall buildings with pilotis by 2017 Pohang earthquake.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2019; 23(1):9-18.
    4. Kim T, Chu Y, Kim SR, Bhandari D. Seismic behavior of domestic piloti-type buildings damaged by 2017 Pohang earthquake.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2018;22(3):161-168.
    5. MOE. Guideline for Seismic Evaluation and Rehabilitation of Existing School Buildings. Ministry of Education. Sejong. c2021.
    6. Lee HH, Koo ES. A experimental study on the capacity evaluation of the shear-strengthened RC column with aramid fiber sheet.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1999;15(6):29-36.
    7. Choi JJ, Lee TH, Ryoo JY, Rho KG, Choi SM. FRP Seismic Reinforcement Method of Pilotty Structures Column Expected to be Damaged by Pohang Earthquake.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Advanced Compostite Structures. 2018;9(3):14-21.
    8. Hoang DV.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RC corner columns with varying seismic details under different lateral and vertical loading. Master Thesis. Sejong University. c2014.
    9. Korean Standards Association. KS F 2403 Standard test method for making concrete specimens. Korean Standards Association. c2019.
    10. Korean Standards Association. KS F 2405. Standard Test Method for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Korean Standards Association. c2017.
    11. Korean Standards Association. KS B 0802. Method of Tensile Test for Metallic Materials. Korean Standards Association. c2018.
    12. FEMA 461. Interim testing protocols for determining the seismic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structural and nonstructural components. c2007.
    13. ACI 440.2R-08. Guide for design and construction of externally bonded FRP systems for strengthening concrete structures. c2008
    14. Ye L, Yue Q, Zhao S, Li Q. Shear strength of reinforced concrete columns strengthened with carbon-fiber-reinforced plastic sheet. Journal of Structural Engineering. 2002;128(12):1527-1534.
    Journal Abbreviation J. Earthq. Eng. Soc. Korea
    Frequency Bimonthly
    Doi Prefix 10.5000/EESK
    Year of Launching 1997
    Publisher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Indexed/Tracked/Covered By